떡국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 중에서도 훌륭한 한끼 별미입니다

떡국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 중에서도 훌륭한 한끼 별미입니다


떡국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 중에서도 훌륭한 한끼 별미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무병장수를 위한 떡국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설날에는 온 가족이 둘러앉아 떡국을 먹습니다.



예전에는 떡은 그냥 간식으로만 먹었는데 요사이는 떡국과 같이 먹는 것이 정식 코스처럼 되었네요.
떡국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 중에서도 훌륭한 한끼 별미입니다.

특히 저칼로리로 소화에 부담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떡국의 유래와 만드는 법을 알아 놓으면 설날의 추억도 되고 무병장수를 위해서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떡국의 유래와 만드는 법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떡국의 유래 설날 세시음식으로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리나라 어느 지역을 가도 빠지지 않는 음식이 바로 '떡국' 입니다.
가래떡을 뽑아 납작납작하게 썰어서 육수에 끓인 설날 음식인 떡국은 설날이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인만큼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뜻으로 깨끗한 흰떡을 끓여 먹은 데서 유래되었고, 또 이 날 먹는 떡국은 첨세병(添歲餠)이라 하여 나이를 한 살씩 더 먹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역시 떡국의 유래에 대해서도 오래된 한설이 있는데,『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떡국을 '백탕(白湯)' 혹은 '병탕(餠湯)'이라 적고 있는데, 즉,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白湯),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餠湯)이라 했다.


또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것은 태모(太母)의 상이라고 적어, 한 살 더 먹는 날을 하나의 작은 명절로 기리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답니다.


떡국은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지만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있었지만 다른 음식과 달리 떡국을 만들 때는 고기와 함께 끓여 먹는 음식입니다.
서민음식인 떡국에 고기를 넣어 육수를 만듦으로써 자칫 기름기가 많아 질 수 있는 고기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죠.



이는 고깃국을 먹으면 나이를 먹는다고 하는데 나이 먹는 것을 막기 위한 조상의 지혜에서 나온 풍속으로 이는 설날 아침에 평소 식사하는 국을 그대로 데워 먹은 것이며, 이것이 바로 설날 떡국을 먹는 풍습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지금은 방앗간에서 할 일을 대부분 기계 떡으로 모두 해결하지만, 예전엔 집집마다 떡을 하는 날을 따로 정해 이웃끼리 서로 나누어 먹기도 했습니다.

떡을 할 때는 쌀가루를 물에 반죽해서 둥글게 빚어 오미자국물에 쪄냅니다.
떡이 떠오르면 건져 그릇에 담고, 떡이 매끄럽게 되어 그릇 안에 들러붙지 않도록 계속 저어가며 끓입니다.

떡이 떠오르면 그릇에 담아 소금과 설탕을 넣어 간을 맞춥니다.
필요한 재료 떡국떡 2컵, 국간장 2큰술, 설탕 1작은술, 다진 마늘 12작은술, 참기름 2작은술, 달걀 1개, 실파 3뿌리, 김가루·식용유·소금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1 떡국떡은 찬물에 부드럽게 잘 씻은 후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2 김가루는 식용유를 두른 팬에 살짝 볶는다.

달걀은 풀어놓는다.
3 달군 팬에 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을 볶아 향을 낸 뒤 김가루와 설탕, 국간장을 넣어 볶는다.




 4 3에 떡국떡을 넣어 볶다가 미리 볶아놓은 마늘, 파를 넣어 섞는다



4 3에 떡국떡을 넣어 볶다가 미리 볶아놓은 마늘, 파를 넣어 섞는다.


5 4에 달걀 물을 붓고 젓가락으로 휘 저어가며 익힌 후 실파를 송송 썰어 얹는다.


6 5를 그릇에 담고 달걀 지단과 실고추를 고명으로 얹어 낸다.

떡은 새해 첫날에 먹는 음식이므로 집안의 가풍에 따라 적당한 날짜를 골라 먹는 것이 좋다.
삼신할머니께 바칠 떡을 마련할 때는 쑥을 쓰지 않고 떡을 한다.

쑥은 떡을 하기에 좋지 않다.
그러나 떡을 하다 보면 멥쌀가루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다.

특히 쑥은 쉽게 풀어져서 떡이 지저분해질 수 있다.


이럴 때는 쑥을 체에 담아 바로 떡 옆에 살살 부어 살살 버무린다.

떡이 무르지 않게 살짝 버무려야 쑥이 매끄럽게 되고 광택이 난다.
멥쌀가루에 섞는 소금은 한꺼번에 넉넉히 하지 말고, 쌀씻은 물에 소금을 타서 떡을 할 때 넣으면 서로 붙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씻은 쌀가루에 끓는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버무리면, 떡이 훨씬 부드럽고 맛있어 진다.



 쌀씻은 물에는 전분질이 많아 쉽게 응고되기 때문이다



쌀씻은 물에는 전분질이 많아 쉽게 응고되기 때문이다.


떡이 뜨거울 때는 참기름과 식용유를 섞어 바르면 기름기가 많이 없어져 붙지 않는다.
녹두를 주식으로 해서 설을 쇨 때는 색깔이 잘 나오는 녹두나물을 이용하여 떡을 하기도 하고, 반죽을 하여 팥이나 녹두, 콩을 넣어 특별한 떡을 만들어 먹었는데, 모두 영양가가 풍부한 음식이다.

가래떡은 우리의 전통 음식입니다.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이고요.

이번 설에는 가족들에게 가래떡으로 만든 맛있는 떡국을 끓여 먹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가래떡의 유래와 만드는법 가래떡은 예전엔 흰떡을 얄팍하게 만들어 떡 중의 떡으로 쳐주던 떡으로, 설날 같은 특별한 날에는 떡국을 끓이기 위하여 멥쌀가루에 잘 굴려 떡을 만들어 떡살로 무늬를 만들어 차례상 등의 떡 위에 올려 놓았습니다.

또한 새해 첫날에 떡국을 먹었습니다.
사람이 일년 사는 것을 '돌'이 한 번 돌고, '달'이 한 번 돌며, '해'가 한 번 돌아가는 것으로 이야기하였습니다.

보통 흰떡은 무병장수를 빌면서 장수를 뜻하는 붉은색의 팥고물을 묻혀 사용하였습니다.
돌이나 명절 및 생일 또는 어른들께 새배할 때 올리는 떡국의 떡을 길게 만들 어 자르는 것을 '용떡'이라고 불렀으며, 만든 떡을 적당한 크기로 떼어내어 금이나 은, 또는 동전을 넣고 봉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떡을 가래떡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예전에 식량이 부족하였던 시절, 아침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던 사람들이 가래떡을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없었기에 쉽게 남을 수 있는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가 바뀌어 이제는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뜻을 전하게 되었는데요.
바로 이 가래떡은 긴 막대 모양의 떡을 2개를 합쳐서 '가래'라고 하고, 이와 유사한 형태로서 '떡국'도 있는데, 이것은 흰떡에 같은 모양으로 길게 뽑은 가래를 붙여서 한자어로 '병 탕'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흰떡을 만들 때에는 속에 증편을 넣고 떡을 누에고치 모양으로 모아서 찐 다음, 안에 든 소를 나중에 넣고 눌러서 떡을 만들기도 하고, 속에 든 떡을 쉽게 자를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만 시루에 찌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떡의 의미는, 옛사람들에게 식량을 나누어 주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쌀을 빻아 물로 반죽을 하여 끊는 물에 넣어 잠깐 끓이다가 건져 내고 그 물에 조금씩 떼어 떡을 만들어 넣어 끓인 음식입니다.





주의사항
글에는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모든 판단은 독자의 책임입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단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